유운의 YOLO LIFE

팔공산 왕건길 5코스와 6코스 문화 탐방 트래킹 본문

여행 및 트래킹

팔공산 왕건길 5코스와 6코스 문화 탐방 트래킹

유운바라기 2023. 9. 9. 10:10

팔공산 왕건길은 총 연장 27km 8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팔공산 왕건길 5코스 6코스 트래킹에 대하여 적어봅니다

앞의 포스팅에서도 팔공산 왕건길 코스별로 설명을 해 놓았지만

같은 페이지에서 확인을 하기 쉽도록 한번 더 적어봅니다.

 

5. 팔공산 왕건길 05코스 고진감래길

백안삼거리  평광종점 : 백안삼거리에서 시작하여 평광종점까지 이어지는 구간입니다. 이곳은 평화로운 산책로와 아름다운 산과 들녘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트래킹 구간은 백안삼거리 → 깔딱재 → 돼지코 → 새터마을 → 평광종점이며

거리는 5.2km 정도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 정도입니다.

 

 

6. 팔공산 왕건길 06코스 호연지기길

평광종점  매여종점 : 평광종점에서 시작하여 매여종점까지 이어지는 구간입니다. 이곳은 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처단한 곳으로, 역사의 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트래킹 구간은 평광종점 → 첨백당 → 옻골재 → 요령봉 → 매여종점이며

거리는 5km 정도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 정도입니다.

 

 

 

 

팔공산 왕건길 05코스 고진감래길 코스소개

 

코스개요

- 깔딱재를 오르는 힘든 길이 지나면 편안한 길이 이어진다 하여 이름 붙여진 코스

- 백안삼거리에서 시작해 깔딱재, 돼지코를 지나 평광 종점에 이르는 코스

 

관광포인트

- 하늘에서 내려다 본 지형이 돼지코 같다하여 이름 붙여진 '돼지코'

- 실제 왕건이 도주했던 길인 평광지 저수지 우측으로 위치한 시랑리 가는 길

- 왕건이 도주했던 길에 붙은 왕건임도 표지판

 

여행자 정보

-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724번 버스 승차 후 섬유회관 앞 정류장 하차, 급행1 버스 승차 후 공산초등학교 건너 정류장 하차

- 중간중간 참나무를 잘라 만들어놓은 쉼터가 위치해있음

- 화장실 및 식수, 매점시설이 없음

 

 

고진감래길 코스를 시작해 봅니다.

 

먼저 팔공산 왕건길 지도를 촬영해 보았습니다

팔공산 왕건길 지도

 

5구간의 시작은 백안삼거리의 백안모텔 앞에서 시작을 합니다.

 

 

 

백안삼거리 큰 길에서 갓바위방면의 횡단보도 옆, 백안모텔 옆에

 

길가에 세워진 왕건길 표지석을 사진으로 남기고

 

백안모텔 옆 길의 '동다송'표지석 앞에 왕건길 이정표가 있다.

 

'동다송' 표지석 앞에서 팔공산 왕건길 이정표를 따라서

 

조금만 걸어가면 '백안쉼터'라는 문패를 단 4각 정자가 있다.

 

 

 

동화천을 건너자마자 왕건길 이정표가 나오고

 

나무울타리를 따라 진행하면 곧장 산으로 올라 서게 된다.

 

 

 

산의 능선을 따라서 한참을 오르기만 한다.

 

그래서 '깔딱재'라는 이름이 붙었나 보다...

 

 

 

 

 

5구간 마지막인 평광종점의 안내석이다..

 

 

 

팔공산 왕건길 06코스 호연지기길 코스소개

 

코스개요

- 요령봉으로 이어지는 힘든 길을 올라 멋진 조망을 보며 호연지기를 느낄 수 있는 길

- 평광 종점에서 시작해 옻골재, 요령봉을 거쳐 매여 종점까지 이어지는 코스

 

관광포인트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홍옥 사과나무가 있는 '재바우농장'

- 조선말 우효중의 효성과 우명식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지어진 '첨백당'

-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는 듯한 형상의 '깨진계란바위'

- 대구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요령봉 정상'

 

여행자 정보

-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만평역 승차 후 명덕역에서 대구1호선 환승, 명덕역 승차 후 아양교역에서 하차, 아양교역 정류장에서 팔공 1번 버스 승차 후 평광 종점 정류장 하차

- 매여 종점에 식수 및 식당이 위치해있음

- 첨백당과 재바우농장은 코스에서 벗어난 길로 왕건길의 우측에 위치함

 

 

6구간의 시작은 매여종점에서 첨백당으로 향하는 길로 시작이 된다.

첨백당

 

첨백당(瞻栢堂)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84725일 대구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우효중의 효행과 우명식의 충성심을 기리며, 광리에 거주하는 단양 우씨들의 교육을 위해 세운 건물이다.

 

첨백당이라는 이름은 우명식 선생의 묘소가 있는 백밭골을 우러러보는 집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고종 33(1896)에 지었고 1924년 새롭게 고친 적이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고, 집 가운데는 대청마루가 있는데 양쪽 툇마루보다 높게 놓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툇마루에는 난간을 아담하게 둘러 놓았다.

 

 

첨백당

팔공산 왕건길 6구간은 대구 둘레길 2구간과 많이 겹친다.

 

위의 사진에도 초록색의 키 작은 대구 둘레길 2구간 이정표가 보인다.

 

나무계단으로 올라서면 이제 산길로 들어가며 능선으로 올라가게 된다.

 

 

대구 둘레길 2구간 매여평광길 이정표가 있고

대암봉은 400미터 지점에 훤히 보이지만, 매여마을 방향으로 진행한다.

 

옻골재

 

옻골재 도착 사진

 

 

 

 

거북바위와 깨진바위...

깨진바위는 안내석이 보이지를 않는다.

 

 

 

 

요령봉에 도착

 

나무데크를 만들어 놓아서 편하다.

위험 안내 표지만도 정겹다..

 

 

매여 종점 도착 

 

6구간 마지막 지점입니다.

 

 

 

각 코스별 GPX 트랙화일을 공유합니다.

 

오룩스, 트랭글, 산길샘, 램블러 등의 앱을 이용하시면 트래킹에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팔공산 왕건길 05코스 고진감래길.gpx
0.06MB
팔공산 왕건길 06코스 호연지기길.gpx
0.06MB

 

 

다음 포스팅에서는 팔공산 왕건길의 마지막 구간인 7~8구간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